본문 바로가기

개발일지/cloud

AWS rds 데이터베이스 생성하고 IntelliJ 인텔리제이 에서 접속

사이드 프로젝트 개발을 위하여

개인

개발서버 - 운영서버를 만들고 있다.

 

일단

개발서버 : aws ec2에 nginx - tomcat - rds mysql 서버

운영서버 : cafe24 에 nginx - tomcat- mysql 서버 

로 구성을 하기로 했다.

 

이유는 차차 정리하는 것으로.

 

이번에는 

aws rds 데이터베이스 생성하고 intellij에서 접속 하는 것을 정리해보겠다.

 

 

aws에 들어가서 amazon rds 들어간다.

 

데이터 베이스 생성한다.

 

 

 

 

 

 

mysql 을 클릭한다.

 

 

 

엔진 버전에 따른 차이는 모르지만 디폴트 세팅을 따른다.

 

 

 

개발서버는 프리티어로 충분할 것으로 보인다.

프리티어를 선택한다.

 

 

 

 

프리티어를 선택하면 다중 AZ 등의 옵션은 선택되지 않는다.

단일 DB 인스턴스만 지원이 된다.

 

 

jobs db dev 잡스의 데이터베이스 개발서버라는 뜻으로 이름을 지정한다.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설정한다.

 

기왕이면 운영서버로 사용할 cafe24 와 동일하게 세팅한다.

 

 

 

인스턴스 구성은 디폴트 세팅을 따른다.

 

 

 

 

ec2 컴퓨팅 리소스에 연결을 선택하면 알아서 

vpc보안그룹이 ec2인스턴스에 추가 된다고 한다.

결론적으로 네트워크 상에서 rds 와 ec2서버가 연결된다는 뜻이다.

 

 

VPC 설정은 디폴트 세팅을 따른다.

 

 

 

서브넷 디폴트 세팅을 따른다.

 

추후 잘못 설정하게 된 것을 깨달은게 있는데

인텔리제이 에서 접속할려면 퍼블렉 엑세스가 가능해야한다. 추후 설정을 수정할 수 있다. 

인텔리제이 등에서 접속하기 위해서 퍼블릭엑세스를 선택하고 진행하라

그리고 추가 VPC보안그룹에서나는 선택을 했는데 굳이 선택하지 않아도 되는 것 같다.

VPC보안그룹도 추구 설정을 수정하여 삭제했다.

 

 

 

가용영역, 인증기관 등도 디폴트 세팅을 따랐다.

 

현재로서는 암호 인증을 선택하고 넘어간다.

 

프리티어로 rds를 잘 사용하도록 설정 한것을 확인한다.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생성하는데에 시간이 좀 걸린다.

 

 

 

 

 

상태가 사용가능이라고 나오면 비로소 완성이 된 것이다.

 

 

막상 인텔리제이에서 접속 테스트를 해보니까 연결이 안되고 타임아웃 난다.

 

우리가 어쨌든 DB가 연결이 안되면 네트워크 설정을 확인해봐야한다 방화벽이 열렸는지

접근제어리스트가 있는지 등등.

 

aws에서는 3가지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1.rds 퍼블릭엑세스 허용

2.보안그룹의 인바운드 규칙

3.vpc 라우팅 편집

 

 

1.rds 퍼블릭엑세스 허용

rds 화면에서 수정을 누른다.

 

추가구성 - 퍼블릭 엑세스 가능을 클릭한다.

 

 

2.보안그룹의 인바운드 규칙 추가

vpc 보안그룹을 들어가서 인바운드 규칙을 편집한다.

 

 

인바운드 규칙편집 버튼 클릭

 

 

규칙추가 - MYSQL - 내IP - 규칙저장 순으로 인바운드 규칙을 추가한다.

 

 

3.라우팅 테이블의 인바운드 규칙을 편집한다.

 

vpc를 들어가서 라우팅 테이블을 클릭한다.

라우팅 테이블에서 라우팅 편집을 누른다.

 

라우팅 추가 -  0.0.0.0/0 선택 - 인터넷 게이트웨이 순으로 선택하고 저장한다.

 

 

다 하고 나서 인텔리제이에서 연결 테스트를 해보니 비로소 연결을 성공한다.

 

인텔리제이에서 이제 rds를 연결해서 db 클라이언트로 사용할 수 있다.

 

 

인텔리제이에 세팅 된 나의 DB 개발서버 운영서버

 

 

 

** 인바운드 규칙에 세팅된 IP는 집에서만 접속이 가능하다. Wifi접속 등 IP가 달라지면 당연히 접속이 불가하다. 당황하지 말자.

'개발일지 >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