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사용하다보면 당연히 서버별로 다르게 configuration을 설정해야한다.
로컬/개발/스테이징/운영을 다르게 해야한다.
조건1: 로컬/개발/운영 환경으로 개발
조건2: DB환경설정을 다르게 한다.
application-local.yml
application-dev.yml
application-prod.yml
파일을 생성한다.
spring:
config:
activate:
on-profile: dev
해당 프로파일에 맞게 dev, local, prod를 입력한다.
인텔리제이에서 옵션수정을 클릭한 다음에 프로그램 인수를 선택한다.
--spring.profiles.active=local 을 입력하고 적용
--spring.profiles.active=local 을 입력하고 적용
그럼 테스트 코드 실행시에는 어떻게 구분하는가.
이것을 설정하지 않고 테스트 코드를 실행하면 에러가 발생한다.
@SpringBootTest
@ActiveProfiles(profiles="local")
class JobsAdminApplicationTests {
테스트를 실행해보니 local 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개발일지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oot 스프링부트 jasypt이용한 yml에 민감정보(DB 정보) 암호화 세팅하기 (0) | 2023.09.10 |
---|---|
SpringBoot 스프링부트 yml jpa 설정 show_sql, format_sql, use_sql_comments, physical-strategy (0) | 2023.06.01 |
vue-cli 프로젝트 정리하기, 테스트 실행 명령어 추가하기 (0) | 2023.05.12 |
vue.js의 vue-cli 설치해서 프론트엔드 프로젝트 초기 설정/ 개발 서버 접속 (0) | 2023.05.10 |
스프링 이니셜라이저로 프로젝트 생성 (0) | 2023.05.09 |